일반 분류
한국 주력산업 중국에 추월: 영향 받을 가능성이 높은 국내 주식 종목
작성자 정보
- 오리아셋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64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중국이 단순한 ‘기술 추격자’에서 ‘첨단 기술 선도자’로 변화하면서 한국 산업에 위기가 닥치고 있다. AI, 양자 기술, 바이오, 반도체, 2차전지 등 주요 산업에서 중국의 기술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의 글로벌 경쟁력은 점차 뒤처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 산업의 주요 문제점
- 반도체·2차전지·철강·화학 등 주력 산업에서 중국과 격차가 축소되거나 뒤처지고 있음.
- 3D프린팅·시스템반도체·바이오헬스 등 미래 유망 산업에서도 경쟁력이 낮은 평가를 받고 있음.
- 연구개발(R&D)·설계·조달·수요 측면에서 경쟁력 약화가 두드러짐.
- 한국 정부는 산업 구조조정을 민간에 맡기고 있어 중국의 정부 주도형 지원 정책과 비교해 경쟁력이 약함.
중국의 기술 성장과 정부 지원
- AI·양자과학·반도체·배터리 등 첨단 산업에 국가 차원의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
- 연간 R&D 투자 규모가 한국의 4.6배(2023년 기준 716조 원)에 달함.
- 반도체 산업에서 설계(팹리스) 부문을 중심으로 한국보다 압도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AI 반도체 등에서 한국을 앞서고 있음.
- 2027년까지 세계 미래 산업의 전략적 허브가 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200조 원 규모의 정부 펀드를 조성함.
주식 시장에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종목
부정적 영향이 예상되는 종목
1. 반도체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
중국이 낸드 메모리, AI 반도체, 전력반도체 등에서 한국을 빠르게 추격하면서 경쟁 심화.
특히 팹리스(반도체 설계) 부문에서 한국보다 중국이 앞서고 있다는 점이 문제.
2. 2차전지(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373220), 삼성SDI(006400), SK이노베이션(096770)
중국이 수소 배터리 및 차세대 배터리 연구개발을 강화하면서 한국 배터리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 감소 가능성.
3. 철강·석유화학
POSCO홀딩스(005490), 현대제철(004020), LG화학(051910), 롯데케미칼(011170)
중국의 철강·화학 제품 공급 증가로 한국 철강·화학 업계의 가격 경쟁력 약화 및 구조조정 가능성.
4. 미래 유망 산업(3D프린팅, 바이오, 로봇)
휴젤(145020), 셀트리온(068270), 메디톡스(086900), 레이(228670)
한국의 미래 유망 산업 경쟁력이 낮다고 평가되었으며, 중국의 AI·바이오·로봇 투자 증가로 인해 국내 기업의 성장 속도 둔화 가능성.
긍정적 영향이 예상되는 종목
1. 조선업
한국조선해양(009540), 삼성중공업(010140), 대우조선해양(042660)
글로벌 조선 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이 여전히 우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중국이 조선업에 대한 투자를 늘려도 한국 기업의 경쟁력이 유지될 가능성이 있음.
2. 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034220), 삼성디스플레이(비상장)
한국의 OLED 패널 기술 우위가 유지되고 있으며, 중국이 따라오고 있지만 아직 한국 기업들이 선두권.
3. 방산·우주항공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LIG넥스원(079550), 한국항공우주(047810)
중국의 기술력이 한국을 압도하는 산업에서는 한국이 대체 시장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므로, 방산·우주항공 같은 중국과 직접적인 경쟁이 적은 분야는 장기적으로 긍정적일 가능성.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